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그래서, 광주공항은 언제 이전하나요?

로컬이야기

by 쓸모있다 2022. 9. 30. 10:57

본문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환장하는 김장용입니다

광주 전남권에는 광주공항, 무안국제공항, 여수공항 이렇게 3곳의 공항이 있습니다.

여수공항, 광주공항, 무안국제공항 순

광주공항은 1963년 이래로 현재 위치인 광주 광산구 신촌동에 만들어져, 광주가 생활권인 지역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주여행과 서울로 이동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공항이었습니다. 무안국제공항이 개항하기 전만 하더라도 중국과 일본, 동남아를 비롯한 국제선을 처리할 수 있었던 공항이고, 지금은 없는 광주-김해노선도 운행을 했던 공항입니다.

광주공항은 또한 공군 제1전투비행단이 같이 있는 군공항으로서 대한민국 공군 병력들과 소수의 미군도 같이 주둔을 하는 국가시설이지요.

 

그런데 광주 서구에 상무지구 개발이 진행되면서 그 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1980년대에 광산군에서 광산구로 광주에 편입이 되면서 인구가 늘어나기 시작하다가 결국 광주공항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문제가 되어 소음공해 이슈가 생겨나면서 공항을 이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2013년에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광주광역시가 기존의 군 공항 이전과 더불어 민간공항까지 같이 이전하는 것을 검토하기 시작하였고, 2014년에 2022년에 이전한다는 계획을 확정하고 추진하기 시작하였죠. 사업비는 57천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광주광역시가 군공항예정지에 공항시설을 건설해서 국방부에 기부하고, 국방부는 기존 군 공항 부지와 시설을 광주광역시에 양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계획을 확정 지었습니다.

출처 광주군공항이전사업 홈페이지

2015년에 당시 도지사였던 이낙연 전 총리가 군공항과 국내선의 무안국제공항 이전에 동의하면서 그때부터 무안군민들의 반대가 심해지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다가 2016년에 무안국제공항 + 군 공항 이전 계획과 달리 국내선만 무안국제공항으로 옮기고 군공항을 다른 지역으로 옮기기 위한 새 후보지를 물색하게 됩니다. 산간지역이 없고 평지가 많이 존재하는 서남권 군 단위 지역이 유력해졌는데요. 무안을 비롯하여 함평, 영암, 강진, 장흥, 해남, 신안, 진도, 완도 등 9개 군이 거론됩니다. 거론되자마자 바로 반대 입장을 표명한 9군데의 지자체장들이 반대와 유보입장을 발표하고 공항이전에 제동이 걸리게 됩니다. 머리 아프죠.

 

그로부터 2년뒤, 2018년에 무안군수, 광주광역시장, 전남지사가 드디어 모여 광주공항에 모든 기능을 무안공항으로 이전하고 2021년에 광주공항 폐쇄하기로 확정했습니다. 이로서 많은 우여곡절 끝에 진행이 될 것으로 예상을 했습니다. 저 또한 이 기사를 보고 그런 영상을 찍었더랬죠.

https://www.youtube.com/watch?v=xqTPaSUK3PQ&t=102s 

https://www.youtube.com/watch?v=qnO7RBUn42E&t=39s 

 

하지만 예상치 못한 변수가 하나 등장하게 됩니다. 바로 코로롱. 엄청난 질병으로 인해 여행수요가 잠시 줄어들었지만, 출국에 대해 상당한 제약이 생기게 되고, 각종 국제선 노선이 끊기게 되면서 해외 여행수요가 갑자기 줄기 시작한 대신에 국내 여행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합니다. 광주공항도 예외는 아니었죠. 광주공항에서 출발하는 항공사가 늘어나게 되고, 그 항공사들 중 저비용항공사들이 국제선에서 돌렸던 항공기들을 국내선에 투입되기 시작하면서 광주-양양 간 노선 운항이 재개 되었고, 사양길로 접어들었던 광주-김포 간 노선을 새로 투입하기 시작하면서 광주공항은 다시 활기를 띄게 됩니다. 그래서 많은 광주, 전남 북부권, 서남권 주민들이 국내 여행으로 발길을 돌리게 되었고, 지난 202112월 기준 전년 대비 20% 증가한 200만명이 광주공항을 이용하게 됩니다. 이런 변수들 때문에 2021년 광주공항 폐쇄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올해 새로운 지자체장들이 뽑히게 되면서 다시 군 공항 이전에 대한 불씨를 살리기 시작하였고, 얼마전 군 공항 예정지를 무안, 고흥, 해남 3곳으로 다시 밝혔습니다만, 다시 반대운동이 시작이 되면서 다시 이전반대 운동이 일어나고 반대운동 단체들의 연대가 이뤄지게 됩니다

 

사실 이 문제는 님비 현상을 설명 할 수 있는 전형적인 상황입니다. 정치인, 고위급 공무원 관료들이 만들어낸 결과이기도 하죠. 군 공항 이전에 있어서 가장 비교가 되는 곳은 대구 군 공항 이전입니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의성군, 군위군 지자체장들이 만나 대구 공항 이전에 합의하였고, 광주공항 이전과 비교될 만큼 진전도 상당합니다. 하지만 대구 군 공항 이전에 관련하여 군위군의 대구 편입과 관련해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서 이 부분도 해결해 나가야할 과제입니다.

광주공항 이전으로 인해 광주공항을 자주 이용했던 사람들은 불편 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광주시민들은 지역마다 다르겠지만 광주 내에 있기 때문에 공항을 이용함에 있어서 부담이 없는 것은 사실이니까요. 하지만 광주가 더 큰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광주 외각지역을 제외한 개발해야 할 지역은 바로 광주공항 부지입니다. 광주공항이 이전하게 되면 수완지구 개발보다 훨씬 큰 이익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광주광역시 입장에서는 반드시 이뤄져야할 숙원 사업 중에 하나이고요.

 

과연 이 문제를 어떻게 헤쳐 나가야 할지, 해당되는 지자체 장들의 결단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반응형
LIST
사업자 정보 표시
피어크리에이티브그룹 | 김창용 | 전남 나주시 문화로 204 106호 | 사업자 등록번호 : 568-11-01234 | TEL : 010-9641-1332 | Mail : pear_creative@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19-전남나주-0192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관련글 더보기